카테고리 없음

2025년 최신 야간근로수당 계산법 총정리

여행지기365 2025. 6. 3. 15:56

 

밤늦게까지 일한 만큼 보상받고 계신가요? 오늘은 2025년 기준 야간근로수당 계산법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야근수당, 심야수당이라고도 불리는 이 수당은 오후 10시부터 익일 오전 6시 사이의 근무에 대해 지급되며, 법적으로 통상임금의 50%를 가산해 계산됩니다.


✔ 야간근로수당이란?

근로기준법 제56조에 따르면, 야간(22:00~06:00)에 근로하는 경우, 해당 시간에 대해 통상임금의 50%를 추가로 지급해야 합니다. 이는 연장근로와 별개로 계산되며, 해당 시간대에만 해당합니다.


✔ 기본 개념 정리

구분 내용
야간근로시간 오후 10시 ~ 익일 오전 6시
야간수당 계산법 통상임금 × 0.5 (50% 가산)
중복 시 가산 연장 + 야간 중복 시, 총 2배 지급

✔ 야간근로수당 계산법 예시

    1. 1단계: 통상임금 계산
      - 예: 월급 2,300,000원 / 소정근로시간 209시간
      통상임금 = 2,300,000 ÷ 209 ≒ 11,004원

 

    1. 2단계: 야간근로시간 산정
      - 근무시간: 오후 9시~새벽 1시
      - 야간 근무시간: 10시~1시 = 3시간

 

  1. 3단계: 수당 계산
    - 3시간 × 11,004 × 0.5 = 16,506원
    - 야간근로수당 = 16,506원

    ※ 만약 해당 3시간이 연장근로에 해당되면
    - 야간(50%) + 연장(50%) = 총 100% 가산
    - 3시간 × 11,004 × 2 = 66,024원

✔ 야간근무수당 지급 조건

  • 상시근무자, 단시간근로자 모두 해당
  • 근로시간이 1일 8시간 이하라도 22시 이후 근무는 야간수당 지급 대상
  • 주간 교대 근무도 야간에 해당하면 심야수당 지급 대상

✔ 실제 사례 비교

사례 A: 오후 6시~새벽 2시까지 8시간 근무
- 연장근로: 2시간 (18~20시)
- 야간근로: 4시간 (22~02시)
- 야간수당 4시간 × 11,004 × 0.5 = 22,008원
- 중복가산 시 = 4시간 × 11,004 × 2 = 88,032원

사례 B: 오후 10시~새벽 6시 근무 (정규직)
- 총 8시간 모두 야간근로
- 야간수당 8시간 × 11,004 × 0.5 = 44,016원


✔ 자주 묻는 질문 Q&A

Q1. 연장근로와 야간근로가 겹치면 중복 지급되나요?
A. 네, 각각 50%씩 가산되어 총 100% 가산 지급됩니다.

Q2. 연봉에 포함됐다고 수당을 안 주는데요?
A. 연봉 계약에 야간근로수당 항목이 명확히 계산 근거와 함께 표시되어야 인정됩니다. 그렇지 않다면 별도 지급 대상입니다.

Q3. 주말 야간근무는 더 많이 주나요?
A. 주말 자체는 야간 가산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주휴일 또는 휴일근무와 겹치면 휴일수당 + 야간수당 중복 가산됩니다.


✔ 마무리하며

야간까지 근무하셨다면 그만큼의 보상이 반드시 따라야 합니다. 근로계약서에 관련 내용이 빠졌거나, 통상임금이 어떤 기준인지 애매하다면 인사팀에 정확히 문의하거나, 고용노동부에 상담 요청해보세요.

수당은 권리가 아닌, 당신의 정당한 대가입니다.
2025년 야간근로수당 계산법으로 명확하게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