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025년 최신 연장근로수당 계산법 총정리

여행지기365 2025. 6. 3. 15:55

 

 

하루 8시간, 주 40시간을 넘게 일했다면 연장근로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계산 방식이 모호하거나, 연봉제라서 해당이 안 된다고 오해하는 경우도 많죠. 오늘은 2025년 기준으로 변경된 연장근로수당 계산법을 자세히 안내드리겠습니다.


✔ 연장근로수당이란?

연장근로수당은 근로기준법 제56조에 따라 법정근로시간을 초과한 시간에 대해 추가로 지급되는 수당입니다. 원칙적으로 1일 8시간, 주 40시간을 초과한 근무가 연장근로에 해당되며, 통상임금의 50%를 가산하여 지급합니다.


✔ 기본 개념 정리

구분 내용
법정근로시간 1일 8시간, 주 40시간
연장근로 법정근로시간을 초과한 시간
연장수당 통상임금 × 1.5 (50% 가산)

✔ 연장근로수당 계산법

    1. 1단계: 통상임금 산정
      - 월급이 2,200,000원이고 월 소정근로시간이 209시간이라면
      2,200,000 ÷ 209 ≒ 10,526원 (1시간당 통상임금)

 

    1. 2단계: 연장근로시간 파악
      - 하루 9시간 근무했다면, 연장근로는 1시간

 

  1. 3단계: 수당 계산
    - 연장근무 1시간 × 10,526원 × 1.5 = 15,789원
    - 하루 연장근로수당 = 15,789원
    - 주 5회 반복 시, 주간 연장수당 = 약 78,945원

✔ 자주 하는 실수

  • 식대, 교통비는 통상임금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고정성과 정기성이 있을 때만 포함됩니다.
  • 연봉제 근로자라도 연장근로수당은 별도 계산이 필요합니다. 연봉에 포함됐다는 조항이 있더라도 명확한 계산 근거가 없으면 지급 대상입니다.
  • 월 고정 수당에 연장근로가 포함된 경우, 법적 기준보다 적으면 추가로 청구 가능성이 있습니다.

✔ 연장근로 제한

  • 1주일 최대 연장근로 가능 시간은 12시간입니다 (근로시간 주 52시간제)
  • 단, 특별연장근로 인가를 받은 경우 추가 허용됨
  • 18세 미만, 임산부, 고령자는 제한이 다릅니다

✔ 실제 사례 비교

사례 A: 주 5일, 매일 10시간씩 근무
- 기본근무: 8시간
- 연장근무: 2시간 × 5일 = 10시간
- 연장수당: 10시간 × 10,526 × 1.5 = 157,890원

사례 B: 주말 포함 6일 근무, 매일 9시간
- 연장근무: 1시간 × 6일 = 6시간
- 연장수당: 6시간 × 10,526 × 1.5 = 94,734원


✔ 연장근로수당 안 주는 회사, 신고 가능?

네. 고용노동부에 임금체불 신고가 가능합니다. 고용노동부 홈페이지 또는 전화(1350)를 통해 상담 및 신고 절차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


✔ 마무리하며

근무시간이 길어질수록 정당한 보상이 따라야 하는 것은 당연한 권리입니다. 연장근로수당은 단순히 ‘야근 수당’이 아닌 법으로 보장된 임금의 일부입니다. 모호한 계산법으로 손해 보지 않도록, 내 급여 명세서를 꼼꼼히 확인해보세요.

2025년 연장근로수당, 이 글 하나로 확실히 정리해드렸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야간근로수당'과 '심야수당'도 함께 안내드릴게요.